포스트 인터넷 아트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료가 영문이기에 번역을 해야했습니다.

영어 실력이 뛰어나지도 그렇다고 일반적이지도 않기 때문에 번역기를 왼손에 사전을 오른손에 들고 '번역'합니다.

개인적 번역이기에... 틀린 점이 혹시 있다면 지적해주십시오. 감사합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합니다.


오늘은 가장 기초인 위키디피아로 시작합니다. 전부 번역하지 않았으며 기본 개념이 나오는 부분만 읽습니다. 각주는 원래 주소에서 살펴보세요~


원래 주소 : https://en.wikipedia.org/wiki/Postinternet



번역본


포스트 인터넷 - 위키디피아. 


포스트 인터넷은 예술과 비평이 인터넷의 광범위한 채택에 따른 사회와 상호작용의 방식들에서 참조하는 견해를 의미한다. 그 용어(포스트-인터넷)는 Marisa olson, Gene McHugh, and Artie Vierkant에 의한 인터넷 아트에 대한 논쟁으로 부터 부각되었다. 그러나 그 움직임은 완벽히 정의되지 않았다. Guthrie Lonergan과 Cory Arcangel에 의해 언급된 그것은 몇몇이 더 정확하다고 믿는 ‘인터넷 인식’을 위한 용어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미학, 문화, 사회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에 관한 예술로 설명된다.


그 용어의 비평가들은 그것이 예술 제작의 종류가 인터넷 이후 존재하기를 중단했다는 거짓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그리고 Rafael Rozendaal 같은 예술가들은 “포스트-“의 경우에서 나타나는 모호함을 비판한다.)


역사와 맥락


예술 포스트 인터넷의 개념은 2000년대 초에서 중반에 중요한 견인을 얻은 인터넷 아트의 부각으로 탄생했다. 인터넷 예술과 매우 유사한 포스트 인터넷 예술 운동은 다다와 플락서스, 일반적인 넷 문화에서 뿌리를 가진다. 인터넷 아트와 달리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적어도 양식상으로 인터넷의 미디움-네이티브(medium-native)보다 통신기술(인터넷)에 대한 주석에 더 관련된 텔레마틱 예술에 덜 심하게 영향을 받았다.


작업들은 인터넷 아트, 넷 아트, 그리고 data dada Art의 미학이 종종 공유하는 포스트 인터넷 패러다임과 함께 생산된다. 그것은 단지 예술을 제조하는 도구로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다르다. 그러나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 양쪽에서 사회구조를 변경한 힘으로 인터넷을 대처한다.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반드시 인터넷에서 생산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에술은 인터넷과 문화와 사회에서 인터넷의 영향을 반영한다.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Petra Cortright’의 작업, BRIDAL SHOWER과 특히나 또한 ‘Katja Novitskova’의 작업 포스트 인터넷 서바이벌 가이드 때문에 주목받았다.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Harm van den Dorpel’에 의해 창작자의 프로젝트로 덮어졌다. ‘Shia LaBeouf’는 2014년에 “포스트 인터넷 미술가가 어떻게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로 그들의 작품을 촉진하고, 그 촉진이 어떻게 작업이 되는지 부분적으로 응답한” 공동예술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비평과 철학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넷 아트의 방식에서 인터넷 예술보다 더 인터넷에 대한 예술로 비평된다. 이 과정에서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넷 아트의 구조적 혜택을 대부분 잃는다. 즉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물리적 갤러리의 기관을 통해 존재한다. 넷 아트가 작업공간을 재정의하는 것을 노력하는 동안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더 오래된 예술역할의 전통적인 개념에 연원하고 있다. 포스트 인터넷 아트의 위기는 종종 어떻게 본질적으로 무형이고 민주화된 작업이 인터넷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에 의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로 특정된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포스트 인터넷 아트는 종종 네트워크 태생의 예술 이미지의 갤러리를 위한 재포장 혹은 판매에 관해 부정적으로 설명된다.


이에 반해 포스트 인터넷은 또한 예술제작과 중요한 사고를 위한 더 나은 조건으로 제안된다. 이후 인터넷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 예술을 제작할 때 사회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의 중요한 인식 또한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는 또한 블로거 ‘Regine Debatty’의 블로그 “we make money not art.”의 마리아 올슨에 대한 인터뷰에 명확히 쓰여있다.


“더 이상 기술이 작업을 만드는지 어떤지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모든 것은 기술이고 모든 사람들이 언제나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니까요.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사람들이 내가 내 작업에서 “포스트 인터넷” 예술이라고 부른 것 혹은 Guthrie Lonergan이 최근에 “인터넷 인식 예술”이라고 부르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나는 대체적으로 문화에서 인터넷의 영향의 주소가 중요하고, 이것이 네트워크에서 물론 잘 수행될 수 있지만 오프라인에서도 존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그것은 흥미로운 도전일 것입니다. 누군가에게 어떻게 이것이 여전히 인터넷 예술인지 설명하는 일이 말이죠… 만약 그것이 여전히 문제라면 말입니다.”


더욱이 그것은 Stefan Heidenreich에 의해 그의 렉쳐 동안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학생들과의 토론에서 제안되었다. 포스트 인터넷에서의 네트워크들과 오브젝트들, 투기적 리얼리즘, 미디어 혹은 네트워크 이론 그리고 관련된 예술적 사례에서 포스트 인터넷이라는 용어의 힘은 한정할 수 없는 혹은 적어도 매우 밝히기 힘든것이 되었다.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