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하

RESIZE

2018.06.06 - 06.30

ONEROOM




줄이고 줄이다 보면 보이는...(것)



     이미지는 수없이 많은 재매개를 통해 유포된다. 더는 이미지가 어디에 종속돼있는지 표현할 없고 근원지를 없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이미지들이 무분별하게 재매개 가장 문제가 생긴다. 이미지는 재매개될때 의미의 변화를 겪는다. 오늘날의 이미지는 기호- 얼마든지 의미를 덧붙일 있는 기호- 되었다. 이미지는 섹슈얼 수도, 정치적일 수도, 단순히 심미적일 수도 있다. 이미지를 어디서, 어떻게 누가 유포하는지 또는 누가 보는지에 따라 기호에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다. 작가이나하 이런 이미지의 재매개에 대해 회화를 통해 묻는다. 그녀의 작업이 말하는 바는 분명하다. 그녀의 작업이 참조하는 이미지 자체에 대해 논할 필요는 없다. 이미지를 어떻게 것인지 우리는 분석해야 한다. 그녀의 이미지는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가?



2017060216055185291_1.jpg, 100%(뒤돌아 걸어가는 여자, 뒤돌아서 앞을 돌아보는 여자, 대각선으로 서 있는 여자, 

대각선으로 서서 오른쪽 무릎을 살짝 구부린 채 고개를 숙이고 왼손으로 머리를 잡고 있는 여자)

캔버스 위에 아크릴, 286.6 x 726.8 cm, 2018(각 픽셀의 규격은 15.8 x 15.8cm)




     ‘이나하작가의 작업은 회화작업이다. 그녀의 작업을 보기 위해 전시장을 가면 색면추상을 있다. 일정 크기의 정사각형 색면이 캔버스 안에 랜덤하게 배치되어있다. 도통 무슨 이미지를 표현하려고 했는지 없다. 전시장 면을 통째로 차지하는 작업은 황당한 제목을 가지고 있다. 전시장에서 우리가 그동안 믿어왔던 작업을 보는 아무 도움을 주지 않는다



2017060216055185291_1.jpg, 30%(뒤돌아 걸어가는 여자, 뒤돌아서 앞을 돌아보는 여자, 대각선으로 서 있는 여자, 

대각선으로 서서 오른쪽 무릎을 살짝 구부린 채 고개를 숙이고 왼손으로 머리를 잡고 있는 여자)

캔버스 위 에아크릴, 94.8x94.8cm, 2018



     그녀의 작업을 보는 데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할 있다. 번째로 사진을 찍어서 모바일 기기로 본다면 그녀가 표현하려던 이미지에 가까워질 있다. (지금 당신이 핸드폰으로 또는 컴퓨터로 보는지 없지만, 이미지를 축소하면 할수록 원본에 가까워진다) 번째 방법의 쟁점은 이미지의 크기를 줄인다는 것이다.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야 원본에 가까워진다는 것은 작가가 그린 이미지의 정보량이 그만큼 적다는걸 뜻한다. 작가는 마치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듯 이미지의 규격을 축소한다. 실제로 우리가 디스플레이에서 있는 픽셀과 달리 작가는 현실 속에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규격을 설정한다. 픽셀의 크기는 1 사이즈 캔버스(15.8cm x 15.8cm). 회화는 현실-이미지 규칙의 가장 지분을 차지해왔다. 그런 회화의 가장 작은 규격을 픽셀하나로 사용하면서 데이터-픽셀을 현실로 도입할때 생기는 문제(어떻게 많은 픽셀들을 일일히 찍어낼 것인가?) 소거된다. 그녀는 이미지를 리사이즈한게 아니라 픽셀 자체를 리사이즈한다.



hot-body(11).jpg, 100% (고개를 살짝 옆으로 한 채 오른쪽 무릎을 구부리고 있는 여자)



     두 번째로 그녀의 작업을 살피기 위해서 원본을 찾아볼 있다. 전시에서 '리사이즈 회화라고 명명된 시리즈의 이미지는 모두 원본을 구글로 찾을 있다. 그녀는 속옷이나 수영복을 입은 여성의 이미지를 사용했다. 번째 방법은 너무 간단해서 허탈할 정도다. 이미지의 근원지에 도달 했을 우리는 이미지가 얼마나 이질적인지 있다. 그녀는 이미지를 아니 다시 말해 픽셀을 리사이즈함으로써 이미지에 다가가는 단계를 만든다. 그녀의 작업을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것인지는 우리가 선택해야 문제다. 그러나 전시된 작업과 찍힌 작업과 작업의 원본 이미지를 넘나들면서 우리는 무엇을 이해할 있을까?



     결과적으로이나하 이미지는 이미지의 유포와 재매개라는 문제를 가상 이미지의 현실적 도입이라는 문제와 연결한다. 이미지는 우리가 디바이스를 검색하거나 찾거나 우리에게 다가올 계속해서 분열된다. ‘이나하 이미지를 현실 속에 다른 규격으로 도입함으로써 바로 분열을 중지한다. ‘이나하 그려낸 여성의 이미지는 여성의 대상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표현한다. 대상화된 이미지는 현실에서 가시적으로 이해할 없다. 그래서 우리는 전시장에서 우리 자신의 이용할 필요가 없었다. 그녀의 이미지는 대상화의 장소인 디지털-이미지를 통해 가까스로 보이게 된다. 끝으로 다시 묻게 된다. 우리는 무엇을 보아야 하며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by. 하마

BELATED ARTICLES

more